시놀로지 하드 고장, PC 연결 후 포맷 방법 소개
·
IT Info & Tips/하드웨어 Hardware
꼭 잊을만하면 사람 괴롭히는 것들이 하나씩 있다. 시놀로지의 하드디스크 같은거 말이다. 5년 가까이 별탈없이 잘 굴러가더니 어이없게도 가장 나중에 추가한 14TB RED 하드가 제일 먼저 탈락했다. 현재 본인은 시놀로지 4베이 제품으로 SHR-1 (=레이드5)로 구성해서 사용중인데 최근들어 갑자기 스토리지 풀에 문제가 생겼다는 오류를 발견하고 꽤나 심각하게 고민했었다. 제일 오래된 용량 낮은 제품이 차례대로 죽을거라 예상해서 스페어 하드디스크도 14TB로 준비해뒀는데 (향후 14TB로 다 깔맞춤하려고..) 뜬금없이 제일 마지막에 삽입한 동일 14TB가 문제였기 때문이다. 어쨌거나 저쨌거나 급한대로 스페어 하드로 교체부터 하고 봤는데... 시놀로지 저장소 관리자에서 s.m.a.r.t 정보에 상태 심각이라..
Jellyfin 설치 (for Synology with docker) v2
·
IT Info & Tips/리눅스 & NAS Info
00. 설치에 앞서서 몇 안되는 설치형 미디어 서버 중에서 하드웨어 트랜스코딩같은 기능을 제공하면서 무료로 사용이 가능한 Jellyfin을 설치하는 방법을 간단하게 소개하도록 한다. 젤리핀의 전신은 Emby 미디어 서버로, 해당 서비스가 오픈 소스를 포기하고 상업용으로 돌아서면서 포크되어 나온 오픈소스 미디어 서버가 지금 소개하는 젤리핀이다. 젤리핀에 대한 장단점 소개나 사용법 등등은 기회가 될때 다른 글에서 다루기로 하고, 이번 글에서는 시놀로지 제품군에서 도커를 활용해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그저 명령어만 나열하지 않고, 왜 이렇게 입력해야하고 실행해야하는지에 대해서 가능한한 상세하게 설명을 포함함으로써 도커 사용법에 대한 감을 잡도록 한 글이니 참고하시길 바란다. (그런 의미에서 숙..
Bitwarden / Bitwardenrs 비교 결론 (설치 및 사용)
·
IT Info & Tips/리눅스 & NAS Info
Bitwarden (Official version) / Bitwardenrs (SQLite version) 개인용 서버에 설치해서 로컬 호스팅으로 사용가능한 개인용 패스워드 매니저인 Bitwarden에 대해서 알아보다보니 묘하게 설치법이 2가지로 갈리는걸 알 수 있다. 하나는 공식 홈페이지에서 설치용 키를 발급받아 쉘 스크립트로 설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간편하게 도커 이미지로 설치하는 방법이 그것이다. 그런데 좀 더 깊게 살펴보면 묘하게 서로 뭔가가 다르다. 같은 이미지라면 설치 방법은 달라도 매개변수나 그런 부분은 동일해야할텐데 너무 차이가 나서 알아보니 비트워든은 순정 버전과 포크된 다른 버전들이 존재했다. 오피셜이라 할만한 순정 이미지는 bitwarden.com 에서 배포하는 것으로 말그대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