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저 오로치 v2 usb 리시버 페어링 방법
·
IT Info & Tips/하드웨어 Hardware
얼마전까지 잘 사용하던 오로치 v2의 USB 동글이 아주 그냥 산산조각 나버렸다. 노트북 후면 포트에 연결해서 사용중이었는데 해당 위치가 후면 메인 팬 배기구 사이였고 수년간 지속적으로 열을 받으면서 많이 약해진듯 하다. 살짝 닿였는데 usb 케이스 자체가 바스라져 버렸으니까. 덕분에 한동안 블루투스 모드로 사용했는데 아무리 Razer의 게이밍 등급 마우스라도 블루투스 모드는 폴링레이트가 125hz 정도밖에 안되는지라 고주사율 모니터에서 사용하면 이질감이 느껴진다. 그냥저냥 적응하면서 사용할까 하다가 스트레스 받길래 리시버를 별도로 하나 구매했다. 의외로 알리에서도 그다지 저렴하지 않더라. 그래도 국내보다는 저렴하다. 참고로 레이저의 USB 동글을 구매할때는 반드시 어떤 제품의 동글인지 확인해야한다..
윈도11 에서 권한 문제로 지워지지 않는 게임 폴더 해결법
·
IT Info & Tips/소프트웨어 Software
상황 해설 :윈도 자체 스토어를 통해서 게임을 설치할 경우 (MS pass 같은..) 매 게임마다 설치 폴더를 지정할 수 있는데 C: 드라이브 외에 다른 드라이브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문제는 이때 Windowsapps 라던지 Program Files 같은 부수적인 폴더들이 여러개 동시에 생성된다는 점이다. 게임 설치를 위해서는 어쩔수 없지만 게임을 삭제하고나서도 해당 폴더들은 그대로 남아있는 문제가 발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생성된 폴더들은 권한 문제가 꼬여있어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삭제가 불가능하다. 흔히 사용하는 탐색기에서 권한 변경만으로는 안된다. 해결법 1. 게임 삭제를 스토어나 설정의 앱 항목을 통해 공식적인 언인스톨러를 이용하면 해당 폴더들이 사라진다고 하는데, 본인은 매번 폴더들이 계..
레이저 오로치 v2 휠 청소?
·
IT Info & Tips/하드웨어 Hardware
가게에서 잘 사용중인 레이저 오로치 V2가 최근들어 휠 클릭에 문제가 생겼다. 내가 레이저를 좋아하는 이유가 로지텍에 비해서 클릭 이슈가 잘 안생겨서 였는데 오로치는 사용 환경 자체가 워낙 빡세서 그런가보다 한다. 어쨌든 증상 자체는 심플하다. 클릭 하면 잘 안되거나 한번에 더블 클릭되거나. 심하면 트리플 클릭까지. 휠 인코더를 통채로 교체할까 생각했는데 의외로 알리에서 검색이 잘 안된다. 일단 분해해서 청소부터 해보기로 한다. 나사만 푼다고 끝은 아니고, 프레임이 스냅 타이트 형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니 적당한 곳에 틈을 만들어 열어줘야 한다. 부서지지 않게 조심하도록 하자. 열어보니 역시나 오염 상태가 굉장하다. 휠 자체에 먼지랑 머리카락도 엮여있고 인코더쪽에도 진득한 이물질들이 한가득이다. 집에 있는..
시놀로지 하드 고장, PC 연결 후 포맷 방법 소개
·
IT Info & Tips/하드웨어 Hardware
꼭 잊을만하면 사람 괴롭히는 것들이 하나씩 있다. 시놀로지의 하드디스크 같은거 말이다. 5년 가까이 별탈없이 잘 굴러가더니 어이없게도 가장 나중에 추가한 14TB RED 하드가 제일 먼저 탈락했다. 현재 본인은 시놀로지 4베이 제품으로 SHR-1 (=레이드5)로 구성해서 사용중인데 최근들어 갑자기 스토리지 풀에 문제가 생겼다는 오류를 발견하고 꽤나 심각하게 고민했었다. 제일 오래된 용량 낮은 제품이 차례대로 죽을거라 예상해서 스페어 하드디스크도 14TB로 준비해뒀는데 (향후 14TB로 다 깔맞춤하려고..) 뜬금없이 제일 마지막에 삽입한 동일 14TB가 문제였기 때문이다. 어쨌거나 저쨌거나 급한대로 스페어 하드로 교체부터 하고 봤는데... 시놀로지 저장소 관리자에서 s.m.a.r.t 정보에 상태 심각이라..
시스템 손보기 with Q58
·
IT Info & Tips/하드웨어 Hardware
작년에 갑작스럽게 빌드한 Q58은 일단 완성만 하자...는 시간적, 정신적 피곤함에 케이블링도 걍 우겨넣기만하고 이런저런 손을 대야할 부분들을 무시하고 현상 유지만 하고 있었다. 현업이 바빠서 도저히 손댈 짬이 안생겨서인데 이번에 추석을 맞이해 큰 맘 먹고 날밤 샐 생각으로 뜯어봤다.  일단 목표는 세 가지. 1. CPU 가이드 설치2. 엉망으로 우겨 넣은 케이블링 최대한 제대로3. 750w 파워를 1000w 파워로 교체 이 정도를 목표로 뜯었는데 이틀 정도 작업해서 일단 부팅은 가능하도록 해놨다. 자잘한 케이블링이 조금 남았는데 이건 마땅한 방법이 안보여서 생각중인데... 상세 내용은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coolwarp) 에 올릴 예정이니까 앞으로 리뷰나 좀 심도 ..
ASUS 프로아트 ProArt 4080 O.C 그래픽카드
·
IT Info & Tips/하드웨어 Hardware
4080에 대한 리뷰는 차고 넘치기 때문에 굳이 블로그에서 깊이 다룰 이유가 없지만 이미 구매한 지 수개월이 지난 시점에서 구매 인증도 하지 않고 넘어가는 건 또 아쉽기 때문에 간단하게 소감 몇 마디 정도는 써놓고 넘어갈까 한다. 이번에 구매한 제품은 Asus의 프로아트 ProArt 라인업에 속한 제품으로 4080 OC 버전이다. 프로아트 제품군의 특징은 모두 동일한 색감 (검정에 골드로 악센트를 주는)으로 디자인 기조가 통일되어 있고 쓸데없이 현란한 LED를 배제하고 묵직하고 프로페셔널한 이미지를 앞세운 제품이다. 성능상 뭔가 더 특출 난 부분은 없다. 성능 위주 제품은 TUF / STRIX 라인업을 보는 게 맞다. 이 제품은 300mm 라는 현존하는 4080중 가장 짧은 기판 길이와 2.5 슬롯의 콤..
8BitDo Arcade Stick V3 (닌텐도 스위치 / PC 지원)
·
IT Info & Tips/하드웨어 Hardware
* 2020-11-18 에 포스팅하려다가 닫아둔 글입니다. 이미 제품을 판매했기 때문에 이제와서 포스팅 완성하기 껄끄러워 그냥 공개로 돌려둡니다. 유무선 겸용 아케이드 스틱 - 8Bitdo 아케이드 스틱 V3 조그마한 크기에 아기자기한 디자인의 게이밍 패드로 최근들어 인기 몰이를 하고 있는 홍콩의 8bitdo에서 새로운 아케이드 스틱을 발매했다. 무려 닌텐도 스위치와 연결이 가능하고 PC와도 연결이 가능한 유무선 겸용 제품으로 정식 명칭은 8bitdo Arcade Stick인데 국내에서 무슨 이유에서인지 V3라는 명칭으로 함께 표기되어 있다. 홈페이지나 제품 박스 어디에도 V3라는 표기가 안보이는데 조금 궁금하긴하다. 닌텐도와 PC 연결은 가능하지만 그외 콘솔 연결은 불가능하니 콘솔 범용으로 사용하려면 ..
SMSL AO300 - 올인원 DAC 앰프
·
IT Info & Tips/하드웨어 Hardware
제품 소개 및 스펙 몇 년간 무탈하게 사용해 왔던 AD18 (2019.11.06 - SMSL AD18 풀디지털 올인원 앰프)의 한계와 밋밋함에 슬슬 질려가던 찰나에 최근 들어 pc-fi 시장을 핫하게 달군 아이템이 하나 등장했다. 다종다양한 AIO DAC 앰프 제품군중에서 사용하기 편하고 성능 좋은 제품으로 입소문을 막 타기 시작한 제품인데 마침 광군절 할인과 모 오디오 커뮤니티의 공동구매와 맞물려서 저렴하게 구매할 기회가 생겨서 후다닥 챙겨봤다. 상세 제품 사양은 위 표를 참고하시길 바란다. 당연히 전작인 AD18에 비해서 거의 모든 부분이 업그레이드되었는데, 일단 출력이 기존 8옴 25W에서 8옴 85W로 크게 상향됐다. THD가 0.04% 에서 0.003%로 비교불가급이 되었고 SNR은 90dB에서..
MDR-1A 헤드폰 이어패드 교체
·
IT Info & Tips/하드웨어 Hardware
세월의 흔적 with MDR-1A 16년도에 구매했던 MDR-1A는 거의 만 8년을 꽉 채웠음에도 여전히 좋은 소리를 들려주고 있다. 실내에서만 사용해서 그런지 크게 문제가 생긴 적은 없는데 가죽으로 처리된 이어 패드와 헤드 밴드 부분만큼은 세월의 힘을 이겨낼 수가 없었다. 언제고 교체해야지 생각만하고 있다가 어느 날 갑자기 충동적으로 교체용 패드를 구매했다. 알리에서 구매하면 조금 더 저렴하겠지만 품질이 들쭉날쭉할게 뻔해서 국내 판매자 중에서 판매량이 괜찮아 보이는 곳에서 구매했다. 제품 살펴보기 EAR FORM 사실 주문하면서 아무런 기대감이 없었는데 패키지를 받고 나니 의외로 소소한 부분까지 신경 쓴 모습에 꽤 만족스러웠다. 상세한 설명서(QR 링크 제공)와 막상 사용하려고 찾으면 없는 분해요 헤라..
오디세이 G7 S43CG700 관련 팁 몇가지 소개
·
IT Info & Tips/하드웨어 Hardware
1. DP 슬립 모드 버그는 HDMI 2.1 케이블을 사용하면 대부분 해결된다. 본인의 경우를 예로 들자면, PC, 닌텐도, 맥미니의 3개 기종을 동시에 사용 중인데 PC와는 DP로, 나머지는 HDMI로 사용하다가 DP 슬립 버그 때문에 PC를 HDMI 2.1 케이블로 연결하고 맥미니를 C to DP 케이블로 연결하고부터는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있다. 기기 자체 펌웨어가 완전해질 때까지는 이것이 가장 좋은 해결책으로 생각된다. 그랬는데, 이번 1602 펌웨어 업데이트를 하고나니 다시 맥에서 DP 포트 인식을 못하고 있다. 왜죠?? hdmi 연결한 pc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곤란하다. 2. 홈페이지 다운로드 페이지를 통해 전용 컬러 프로파일 (icc 파일)을 제공하는 데 사용하지 마라. 도대체 무..
SMSL AO300 불량 당첨?
·
IT Info & Tips/하드웨어 Hardware
광군절에 좋은 가격으로 그동안 눈여겨보던 AO300을 구매할 기회가 생겨서 냅다 질렀었다. 아참, AO300은 SMSL의 새로운 DAC 통합 앰프 제품이다. 흔히 데스크파이나 PC-fi 할 때 적합한 작은 D클래스 DAC 내장 앰프의 최신형이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제대로 된 제품을 받았을 때 다시 한번 살펴보기로 하고... 오늘은 그냥 썰이나 좀 풀까 하고 글을 쓴다. 지난주에 전달받고 시간이 없어서 어제 간신히 포장을 풀고 연결했는데 켜자마자 팝핑 노이즈가 마구마구 튄다. 뭐 이런게 다 있나 했는데 마침 적절하게 해당 버그? 에 대한 펌웨어가 올라왔다. 적용하니 제품 On/Off 구간을 제외한 팝핑 노이즈는 다 제거되었다. 어차피 끄고 켤 때는 다른 앰프들 중에도 팝핑 노이즈 발생하는 것들이 제법 ..
한밤의 삽질.. with ITX 시스템..
·
IT Info & Tips/하드웨어 Hardware
아직 깔끔하게 모든 게 해결됐어!라는 수준이 아니라서 이번 ITX 빌드에 관한 글을 못 올리고 있지만 앞서 얘기했던 대로 4080과 14600K가 들어간 ITX 시스템을 일단 완성했다. 고민을 많이 했었지만 또 고심했던 보람이 있는지라 부품 조합에 큰 문제는 없었고 별다른 무리 없이 언더볼팅까지 해가며 여러 테스트 중이었다. 그러니까... 저 위 사진의 케이스 내부를 정리하려고 마음먹기 전까지는 말이다. 좀 괜찮은 제품을 쓰고싶은 욕심에 SFX 파워서플라이 대신에 SFX-L을 사용하면서 케이블링 공간이 꽤나 협소해졌는데 덕분에 케이블 정리할 엄두를 못 내고 있었다. 그러던 차에 마침 주말 야심한 밤에 시간이 나길래 조금만 정리를 하자 하고 손을 대기 시작한 게 참사로 이어졌다. 제일 처음에는 실수로 AR..
WOL 설정 - asus strix B760-i Gaming ITX 메인보드
·
IT Info & Tips/하드웨어 Hardware
WOL, Wake On Lan 기능은 원격지에서 인터넷을 통해 내 컴퓨터를 켤 수 있는 기능이다. 주로 원격 작업을 할 때 원격지에 있는 컴퓨터가 꺼져 있을 경우 직접 가서 켤 수가 없을 때 사용한다. 그 외에도 이런저런 사정으로 원격지 (보통은 사용자의 집이겠지만)의 컴퓨터 전원을 켜는 용도로 사용된다. 흔히 하드웨어적인 설정이니 BIOS에서 세팅만 하면 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실제로는 윈도의 세팅도 함께해야 작동하니 아래 사항을 꼭 참고하도록 하자. 글 작성에 사용된 하드웨어 사항 - 메인보드 : ASUS STRIX B760-i Gaming ITX (firware 1205) - OS : Windows 11 Pro (22H2) - 공유기 : ASUS ax86u * BIOS 세팅* 1. BIOS..
윈도우 11 설치시 네트워크 연결 건너뛰는 방법
·
IT Info & Tips/소프트웨어 Software
윈도 10에서 업그레이드 방식으로 11을 사용해 오다가 최근에 새로운 PC를 빌드하고는 아예 11을 처음부터 설치를 했는데 황당하게도 네트워크가 안 잡힌다고 인스톨을 진행할 수 없는 상황을 직면했다. 심지어 윈도우10 때와는 다르게 로컬로 빠질 수 있는 옵션도 제공하지 않고 있는데 MS는 도대체 무슨 생각인지 모르겠다. 미리 설치본에 본인의 랜카드 드라이버를 심어두면 작동할 거 같긴 한데 귀찮으니까 간단하게 로컬로 인스톨하는 방법을 살펴보자. 무척 간단하다. 네트워크를 찾을수 없다는 화면이 뜨면 Shift + F10을 눌러서 커맨드 창을 호출하고 아래 내용을 입력한다. c:> oobe\bypassnro 재부팅되면서 네트워크 설정을 건너뛰고 설치를 계속한다. 더 웃긴점은 이후로는 자동으로 네트워크 드라이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