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bby Life/프라모델 * Plamodels (18) 썸네일형 리스트형 올 가을에 출시될 반다이의 스타워즈 Starwars 라인업 올해 가을 시즌을 겨냥해 반다이에서 스타워즈 라인업을 대거 출시한다는 소식. 루크의 전용기 (엑스윙)와 함께 C3PO, R2D2, 타이 어드밴스(다스 베이더 전용기), 게다가 본인의 프로필 이미지인 스톰 트루퍼, 심지어는 다스 베이더 옹까지...하는거봐서는 AT-AT를 기대해봐도 될려나!! +_+ 안그래도 파인몰드 제품을 살까 말까 고민하던 참이었는데, 역시 에피소드 7이 나온다고하니 반다이에서 재빨리 라이센스 먹고 내놓는구나. 가을이 언제를 말하는지 모르겠지만 어쨌거나 모든 시리즈 구매 확정 -_- . 제품 하나에 3~4000엔 수준이면 좋겠는데.... 라이센스 제품이라 5천엔 넘어가면...쩝..에라 몰라.. 어디서 구매할지나 고민해둬야징.. ITALERI 이탈레리 - BELL AB 212 / UH-1N BELL AB 212 / UH-1N 트윈 휴이이번에 소개할 제품은 월남전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일명 '휴이 Huey' 헬기의 바리에이션 시리즈인 '트윈 휴이 Twin Huey'를 프라모델 킷화 시킨 제품으로, 이탈레리에서 생산했으며 스케일은 1/72이다. 이탈레리의 1/72 스케일 제품들은 적은 런너 수로 구현되는 경우를 자주 볼수 있는데 이 제품도 런너 2벌과 클리어 파트 1개, 데칼 1장, 설명서의 단촐한 구성이다. 참고로 2013년도 3월 출시된 킷이라고. 아래는 설명서 첫머리에 기술되어 있는 실제 기체에 대한 해설을 번역한 내용이니 참고하시길 바란다. 군사 용어를 잘 모르는 관계로 의역이 섞여 있다. Bell UH-1N "트윈 휴이"는 60년대 후반, 캐나다 공군에서 기존에 운용하던 UH-1H를.. 레벨 Revell - Eurofighter Typhoon유로파이터 타이푼 단좌형 1/72 이번에 소개할 제품은 1/72 스케일의 유로파이터 타이푼 단좌형 킷으로, 개발사는 이쪽 분야에서 유명한 레벨 Revell이다. 시작부터 뜬금없는 잡담이지만 요즘들어 1/72 스케일을 선택한것에 조금 아쉬움이 생기는데, 1/32 같은 제품들의 굉장한 디테일에 욕심이 조금 생겨서이다. 다만, 아무리 고려해봐도 그 큰 제품들을 여러개 전시할만한 공간을 확보할수 없을듯해서 아쉬움만...그래서 가능하면 결정판이라 불리우는 제품만을 구매하고 싶어지는데...음.. 사실 레벨이라는 개발사를 예전부터 이름은 많이 들었지만, 실제로 어떤 개발사인지 궁금해서 관련 해외 위키를 뒤적거려봤는데, 꽤 복잡한 역사를 가지고 있는 곳인듯 하다. 최초에 미국에서 설립되었다가 이후 독일 지사가 독립되어 Revell Germany와 Re.. RB-79 Ball ボール Ver. Ka - 작업기 05 (마감제 & 완성) 에어브러쉬를 이용한 첫 작품이 드디어 완성되었다. 초보자는 아무리 다른 이들의 글을 읽어봐도 반드시 시행착오를 거칠수 밖에 없는지라 완성까지 시일이 걸릴수 밖에 없었다. 덕분에 킷 하나 버린다 생각하고 이것저것 시행하면서 나름대로 에어브러쉬 작업에 대한 기준을 잡을수 있어서 그러한 부분이 가장 큰 수확인듯 하다. 뒤에도 언급하겠지만 결론적으로 절대 쉬운 작업이 아니었다는 것. 시간과 노력이 병행되어야 하는 작업이라는걸 다시 한번 느꼈다. 물론 그만큼의 성취감은 있지만 :) 그동안 해왔던 작업기는 아래 링크에서 쉽게 찾아보실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란다. 의외로 별 내용은 없겠지만.. 01. RB-79 BALL Ver. Ka 킷 리뷰02. 가조립 上편03. 가조립 下편04. 프레임 도색05. 먹선 & 데칼링.. RB-79 Ball ボール Ver. Ka - 작업기 04 (먹선,데칼링) 결국 외부 장갑 부분을 모조리 샌딩하고 새로 조색한 뒤 서페이서 -> 본 도색 순서대로 착실히 진행해줬다. 100% 만족할 퀄리티는 아니지만, 그럭저럭 납득할만한 결과가 나와서 그냥 이대로 진행해버렸다. 아마도 다른 킷에서 시행 착오를 몇번 더 거쳐야 만족할 스킬이 쌓일듯 한데, 어차피 이런 스킬 부분은 시행착오가 필연적이라 생각한다. 아마 몇개 정도 더 거치면 가조립때부터 이런저런 염두에 두고 잘 할수 있을듯. 패널 라인에 먹선을 넣어볼까하고 색상을 고민했는데, 메뉴얼 작례랑 비슷하게 하려고 에나멜을 살펴보니 갈색이 없네.. 다크 옐로를 연하게 희석해서 붓으로 찍어줬다. 마음에 안들면 조색할까 했는데, 생각보다 어울려서 그대로 쭉 진행. 아참, 외부 장갑 색상은 White 70% + Light Gull.. RB-79 Ball ボール Ver. Ka - 작업기 03 (프레임 도색) 일단 YF-19는 샌딩하고 다시 도색할지를 고심 좀 해보기로 하고, 이번에는 다시 볼 Ver. ka 를 붙잡아 봤다. 이쪽은 킷 자체가 잘 빠져서 딱히 접합선 수정할 부분도 없고, 런너 자국정도만 갈아내고 서페이서를 올려놓은 상태였는데 본 도색을 이어서 진행했다. 가능한한 메뉴얼에 표시된 지정색을 이용했는데...문제는 지정색을 적용했음에도 메뉴얼 인쇄본과 다르더라는거..-_- 속았네.. 걍 알아서 조색할걸.. HASEGAWA Macross Plus YF-19 진행중.. 이제는 박스도 없고, 남은건 메뉴얼과 데칼...부품도 다 있는지 모르겠지만, 일단 비행 형태로 완성하는데는 무리가 없어 보여서 가조립 완료된지 너무 오래된 킷이지만 (데칼에 2002년이라고 표기가..-_-;) 완성시키고 싶어서 먼지 털고 작업을 진행중이긴한데.. 킷 전체가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변색되어 버려서 화이트 서페이서로 덮긴했는데.. 부러진 부품들이 많아서 본드질을 해도 문제점들이..ㅠㅠ 욕심 부리지말고, 어차피 도색 잘 못하니까 대충 완성하려는데 그것도 여의치가 않아서 고민. 이 킷이 요즘 나오는 제품도 그런지는 모르겠는데 인테이크쪽이랑 엔진쪽에 단차 및 접합선이 심해서 수정한다고 했는데도 도저히 안되는 부분이 있어서(이게 처음 조립단계에서부터 고려해서 제작했으면 충분히 잡을수 있었을텐데 10년.. 에어브러쉬 테스트 및 최근 작업 현황 글 쓸 시간이 좀 애매해서 아직 포스팅을 못하고 있지만, 최근 에어브러쉬와 전용 콤프레셔를 새롭게 영입했다. 자주 안만들기때문에 캔으로도 해결할수 있을거라 생각했는데, 막상 다시 시작하고보니 아쉬운감도 있고... 에어브러슁도 다시 배워보고 싶어서 일단 지르고 시작했는데.. 재미있게도 구매한 날부터 주구장창 비가 와서 -_- ...비가 안오는 날은 바빠서 테스트 해볼 시간이 안나더라 이거지. 아오..빡쳐. 어쨌거나 오늘은 억지로 짬을 내서 1~2시간 진행해봤는데 이거 생각보다 시행착오를 많이 겪어야 할듯 한 느낌이.. 비온뒤라 그런지 침을 퉷퉷 뱉어내서 당황할뻔.. 마루타 대상으로는 최근 가조립하고 쳐박아둔 MG Ball ver. Ka 를 택했는데, 들어가는 색상이 몇가지 되지 않는다는 이유... 그리고 ..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