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int. METALLICA 내 마음의 안식처, 내 인생의 빛, 내 음악의 시작이자 끝 이라는 수식어로는 도저히 설명하기 힘든 메탈리카 라는 그룹은 언제나 그들에 대해서 말할때면 어김없이 흥분감에 휩쌓이는 나 자신의 마지막이자 유일한 성지다. 그래서 난 그들에 대한 음악적 리뷰를 쓸수가 없다. 언제나 침튀겨가며 최고만을 외칠테니까. 그러니까 그냥 소개만 하도록 해야겠다. 사실 2008년도에 발매된 앨범을 이제야 소개하는건...예전에 소개글만 쓰고는 잊어버렸을 뿐..( (2008/10/29 - METALLICA - Death Magnetic 도착! ) 뭐 매년 앨범 내는 그룹은 아니니까 이제부터 들어도 다음 앨범까지 긴 시간이 남았으니 걱정말라. King of the Thrash 왕의 귀환 언젠가부터 메..
분류 전체보기
커피 세상 꽤 한참 전에 주형이 녀석이 새로 나온 제품이라고 맛 좀 보라고(?!) 던져주고 간것이 있었는데 한번 소개해볼까 한다. 요즘 커피붐이 극치라고 할 정도로 난리도 아닌데 인스턴트 쪽에서도 나름대로 여러가지 시도가 보인다. 단순한 캔커피부터 블렌드된 맛과 차별화된 원두를 특징으로 한 제품들, 스타벅스 브랜드의 요상놈까지 여러가지가 나왔는데 이번 커피 온 바바 역시 그런 시류에 부합하는 제품이다. 인스턴트 드립 커피 기계가 있어야 하는 에스프레소보다는 아무래도 접근이 용이한 드립커피를 사람들이 많이 찾는걸로 알고 있다. 밖에서야 스타벅스니, 커피빈이니 하는 에스프레소 블랜딩 커피를 마시겠지만 집에서 마시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아마도 드립이지 않을까? 통계치 따위를 보고 하는 말은 아니지만 평소에 주변..
NGP (Next Generation Portable 가칭) 금일, SCE에서 PSP의 진정한 차세대 기종을 발표했는데 기존에 떠돌던 루머 이미지와는 다르게 제대로 납득할만한 디자인을 갖추고 나와서 약간 흥분될 정도랄까.. 가격이나 발매일은 여전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연말즈음에는 나온다는게 지배적인 의견인듯. 앞으로 많은 정보가 나오겠지만 일단 알려진 만큼만 살펴보자. 1. 해상도 960x544가 가지는 의미 현행 PSP의 해상도는 480x272 인데 NGP는 정확히 2배의 해상도를 가진다. 바꿔말하면 기존의 PSP 게임을 포팅하기에 쉬운 환경이라는 것. 그래서인지 이번 시연영상에서는 몬헌3rdP를 그대로 돌리는 모습까지 보여줬는데 하위호환 걱정은 없는듯 하다. PSP 유저로써 반가우면서도 아쉽달까..(?..
Oldies But Goodies 오래된 추억.. 비록 구매한지 수년이 지난 오래된 작품이지만 얼마안되는 개인 소장용 만화책중에서도 가장 아끼는 전집이 바로 이 블레임이라는 작품이다. 일본 만화의 대부분이 어린 학생들을 타겟으로 하는것과는 다르게 이 작품은 철저히 성인..그리고 SF 매니아들을 위한 것이 아닐까 한다. 그만큼 난해한 내용과 방대하고 놀라운 설정과 세계관을 가진 작품. 워쇼스키 남매(....)의 Matrix , 오시이 마모루의 공각기동대 따위의 페이소스가 강하게 녹아있는 본 작품은 오히려 그들 작품에 많은 영향을 끼치거나 받은게 아닐까 한다. * Blame은 1998년도 첫 출판되었으며 영화 Matrix는 1999년에 상영되었다. 공각기동대는 1995년이지만.. Synopsis 이 이야기는..
아니, 개사된 노래의 애절함(...)은 둘째치고라도 대체 누구길래 이렇게 노래를 잘하는거지...아마추어가 맞긴한건가..어딘가의 -_- 신인 가수의 마케팅이라던지...그런게 아닐까싶을 정도의 노래 실력..ㅎㅎ 감상해보시길..
윈도7용 스택 어플(=Launcher) XP에서 유용하게 사용했던 True Launch bar 를 윈도7으로 넘어오면서 더이상 쓸수없어서 많이 아쉬웠었다. 슈퍼바가 편리하긴한데 1920x1200 해상도에서도 자리가 모자라게 느껴지기 때문. 그렇게 여기저기 찾다보니 비슷하지만 훨씬 심플한 어플을 찾을수 있었다. 제작사 홈페이지 : http://alastria.com/software/7stacks/ 사용법은 간단하지만.. 바로가기를 모아놓은 폴더를 지정해주고 약간의 모양새만 클릭 몇번 해주면 스샷과 같은 근사한 화면을 뽑아준다. 쉽긴한데 문제는 이게 내 컴퓨터만의 문제인지 모르겠지만 윈도7 Ultimate / UAC 최저 / Admin 계정 상태에서 현재 생성이 안된다는 것. 버그같긴한데 관련 문건 찾기도 ..
에스프레소 더블샷에 휘핑크림을 듬뿍 올린 꼰빠냐. 오늘부터 우리집 에스프레소 블랜딩 메뉴에 새롭게 추가된 놈이다. 물론 꼰빠냐가 된다는것은 까페모카나 카푸치노 휘핑까지 몽땅 다 만들수 있다는 말씀. 늘어난건 좋은데...언제 다 먹지..
* 영문폰트용 어플이다. 한글표시가 제대로 되지 않는듯 하다. 한글폰트를 많이 다룬다면 NexusFont를 알아보도록 하자. 폰트 관리할때 하나쯤 있으면 편리한 유틸리티. 시스템에 설치된 폰트뿐만 아니라 경로지정을 통해서 다른곳의 폰트도 살펴볼수 있다. 특징으로는 다양한 속성을 지정해서 정렬이 가능하다는것. 수천개의 폰트중에서 원하는것을 찾기에 적절한 옵션인듯 하다. 하단의 링크로 가서 최신버전을 받던지 미리 받아서 올려준 파일을 직접 여기서 받아도 된다. 홈페이지 링크 : http://us.fontviewer.de 아래의 압축파일은 2.0 버전이다.
한솥에 실망하고.. 얼마전 한솥에서 큰맘 먹고 사먹어본 치킨box의 저질스러움에 치를 떨다가 역시 집에서 튀겨먹어야겠다고...뭐 집에 전문가께서 계시니까 내가 한건 없고 그냥 맛있게 흡입해줌.. KFC도 괜찮지만 역시 집에서 막 튀겨 먹는것도 별미인듯하네. 무서운것은!! 맥주가 없어!! 이건 고문이야!! 라고 외치면서 다 먹어버림. 나에게는 오렌지 쥬스가 있으니까 -_- 라고 작게 위로해봄. 후..이럴때 맥주가 떨어지다니..
* 통계자료를 위한 TOOL 은 09년도와 마찬가지로 Tistat 0.99 를 사용하였다. 여기를 클릭하면 툴에 대한 설명을 볼 수 있다. 1월 1일에 포스팅 한다는것이 그만 지금까지 미뤄지고 말았는데 그나마 1월을 안넘기고 포스팅할 수 있어서 다행이라면 다행. 올해에는 블로그얌의 가치평가 자료를 사용할 수 없어서 조금 아쉬웠다. (티스토리 분석을 제대로 못하겠다고 대놓고 거대 포탈 블로그들만 서비스 하던데 속보인다랄까.) 1년에 한번 하는것이라 그런지 작년과 동일한 틀을 유지할 수가 없어서 조금 아쉽지만 어쨌든 통계를 살펴보고 초석삼아 2011년도 블로깅의 목표를 잡아볼까 합니다. 1. 일년간 총방문객 수 116,080명 이것보다 훨씬 적은 인원일줄 알았는데 의외로 11만명이라는 상당한 숫자가 본 블로..
주말의 지옥 주말 코스트코는 거의 전쟁터를 방불케 하는 면이 있다. 지난주 토욜에 생수와 동생 생일 케이크 구입을 위해서 아무 생각없이 코스트코로 향했다가 주차장 50미터 전방부터 차가 밀려서 꼼짝도 못했는데 어쩔수 없이 그냥 발길을 돌렸었다. 무슨 마트에 사람들이 그리 많은지..회원제 마트인점을 생각해보면 정말 인기있는거 같다. 하긴 싼 가격에 평소 홈플러스같은곳에서는 잘 못보는 제품들이 많아서 가는 면이 크긴 하다. 어쨌든 낮에는 불가해서 결국 매장 문 닫기 1시간 전인 저녁 9시에 달려가서 구입했다..무서워 이 동네.. 신제품 케이크 1월 7일인가 부터 판매를 시작했다는 신제품 케이크가 보여서 처음 계획했던 티라미수 케잌을 포기하고 이놈으로 가져와봤다. 레드벨벳이라고 해서 도대체 무슨 맛인지 궁금했..
Johnny English OST 였다는데 난 그 영화를 봤었는데도 음악은 기억이 전혀 안나는구만. 별로 웃기지도 않았더라는건 기억이 나는데..어쨌든 괜찮은 음악이라 소개함. 가사는 -_- 걍 웃으며 들으면 되는것이고.. 로비 윌리암스라..좋군.
데이빗 핀처 David Fincher 나에겐 언제나 "Se7en" 과 "Fight Club"의 감독으로 기억되는 데이빗 핀처의 2010년도 작품인 본 영화는 국내는 그나마 상대적으로 덜하지만 해외에서는 놀랍도록 열성적인 FaceBook 창립에 대한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영화 관련 포스팅때 몇번 했던 말이지만 Se7en은 내 개인적인 베스트 영화 1순위의 작품이다.) 이 영화는 실화를 원작으로 하는 영화들이 흔히들 그러듯이 시작 즈음에 "이 이야기는 실화입니다" 또는 "**** 책을 원작으로 극화시킨 내용입니다 " 따위의 설명이 일체없이 그냥 흘러간다. 왜냐면 명백히 허구가 가미된 "영화" 이기 때문인데 대체 어디가 허구이고 어디가 실제인지 도저히 구분이 안가는 극의 구성을 보고 있자면 역시 감독 칭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