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x

작년에 갑작스럽게 빌드한 Q58은 일단 완성만 하자...는 시간적, 정신적 피곤함에 케이블링도 걍 우겨넣기만하고 이런저런 손을 대야할 부분들을 무시하고 현상 유지만 하고 있었다. 현업이 바빠서 도저히 손댈 짬이 안생겨서인데 이번에 추석을 맞이해 큰 맘 먹고 날밤 샐 생각으로 뜯어봤다.  일단 목표는 세 가지. 1. CPU 가이드 설치2. 엉망으로 우겨 넣은 케이블링 최대한 제대로3. 750w 파워를 1000w 파워로 교체 이 정도를 목표로 뜯었는데 이틀 정도 작업해서 일단 부팅은 가능하도록 해놨다. 자잘한 케이블링이 조금 남았는데 이건 마땅한 방법이 안보여서 생각중인데... 상세 내용은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coolwarp) 에 올릴 예정이니까 앞으로 리뷰나 좀 심도 ..
4080에 대한 리뷰는 차고 넘치기 때문에 굳이 블로그에서 깊이 다룰 이유가 없지만 이미 구매한 지 수개월이 지난 시점에서 구매 인증도 하지 않고 넘어가는 건 또 아쉽기 때문에 간단하게 소감 몇 마디 정도는 써놓고 넘어갈까 한다. 이번에 구매한 제품은 Asus의 프로아트 ProArt 라인업에 속한 제품으로 4080 OC 버전이다. 프로아트 제품군의 특징은 모두 동일한 색감 (검정에 골드로 악센트를 주는)으로 디자인 기조가 통일되어 있고 쓸데없이 현란한 LED를 배제하고 묵직하고 프로페셔널한 이미지를 앞세운 제품이다. 성능상 뭔가 더 특출 난 부분은 없다. 성능 위주 제품은 TUF / STRIX 라인업을 보는 게 맞다. 이 제품은 300mm 라는 현존하는 4080중 가장 짧은 기판 길이와 2.5 슬롯의 콤..
아직 깔끔하게 모든 게 해결됐어!라는 수준이 아니라서 이번 ITX 빌드에 관한 글을 못 올리고 있지만 앞서 얘기했던 대로 4080과 14600K가 들어간 ITX 시스템을 일단 완성했다. 고민을 많이 했었지만 또 고심했던 보람이 있는지라 부품 조합에 큰 문제는 없었고 별다른 무리 없이 언더볼팅까지 해가며 여러 테스트 중이었다. 그러니까... 저 위 사진의 케이스 내부를 정리하려고 마음먹기 전까지는 말이다. 좀 괜찮은 제품을 쓰고싶은 욕심에 SFX 파워서플라이 대신에 SFX-L을 사용하면서 케이블링 공간이 꽤나 협소해졌는데 덕분에 케이블 정리할 엄두를 못 내고 있었다. 그러던 차에 마침 주말 야심한 밤에 시간이 나길래 조금만 정리를 하자 하고 손을 대기 시작한 게 참사로 이어졌다. 제일 처음에는 실수로 AR..
Q58은 기본적으로 그래픽카드를 버티컬 형태로 설치하도록 고안된 케이스다. 그래서 전용(=길이를 맞춰둔) 라이저 케이블이 케이스에 부착된 채로 판매된다. 본인이 Q58을 구하려고 하는 지금은 아쉽게도 PCIE 4.0 버전의 블랙 컬러 제품에 한해서 재고가 없는 상황이다. 해외 사이트에서도 찾기 힘든 걸 보면 단종이 아닐까 싶은데.. 어쨌든 뒤늦게 이 사실을 알았지만 애시당초 이 케이스 때문에 ITX 프로젝트를 시작했으니 포기할 수는 없는 노릇이라 방법을 강구해 봤다. 알아보니 PCIE 3.0 버전과 4.0 버전의 Q58은 오직 라이저 케이블 하나만 다르고 모든 구성이 동일하다. 그리고 마침 Q58 전용 4.0 라이저 케이블을 공식 판매처에서 구할 수 있는 상태였다. 뭐 이러면 답이 나오지 않는가. 3.0..
제품 외관 살펴보기 제품을 고르기까지.. 이번 ITX 만들기를 시행하면서 부품 하나하나 고르는데 평소보다 훨씬 까다로움을 느꼈다. 아무래도 처음 접하는 폼팩터였고 부품 가격들이 미쳐 날뛰는 시기가 겹치면서 선택에 필요한 요소들이 많이 늘어난 탓이다. 그중에서도 메인보드는 특히나 갈등이 심한 컴포넌트였는데, 몇가지 이유가 있다. 우선 메인보드 가격이 최근 전 세계적으로 말도 안 되는 수준으로 올랐다. 코로나 이전이라면 10만 원 미만대에도 가성비 제품을 찾을 수 있었고, 일반적으로 10만 원 중반 대라면 중급기를, 20만 원이 넘어가면 고급 기종을 구할 수도 있었다. 현재는 1~20만 원대라는 선택지는 사라지다시피 했고, 시작 가격이 30만 원대부터..라는 느낌이다. 중급 칩셋이 아닌 상급 칩셋이 사용된 ..
진행 중인 ITX 프로젝트 부품 중에 두 번째 구매한 것은 램. 사실 램을 먼저 구매한 것은 급작스럽게 핫 딜이 떠서 그랬던 것인데, 이때 이미 메인보드를 결정하기는 했지만 이후에 몇 번이나 마음이 이랬다 저랬다 하는 바람에 상당히 후회했던 구매이기도 하다. 결과적으로는 다시 원점으로 돌아오면서 첫 선택이 맞은 셈이지만 중간 과정의 갈등을 떠올리면...한숨만.. 참고로 XMP 같은 오버클럭 설정을 확인하려면 해당 메인보드의 QVL 을 꼭 확인하시길 바란다. 아래 링크는 본인이 구매하려는 메인보드 - B760i의 QVL 링크이니 참조하시길. 덧붙여 CPU를 설정해야 제대로 검색된다. ROG STRIX B760-I GAMING WIFI | 메인보드 | ROG Korea, Republic of The ROG ..
한창 컴퓨터에 빠져서 이것저것 긱스러운 짓에 빠져있을 때야 워낙 자주 겪는 일이라 당연했지만 요즘같이 업그레이드 주기도 길어지고 pc 보다 맥미니를 쓰는 날이 더 많아진 때에 아무 이유도 없이 PC가 부팅 불가 상태에 빠지면 살짝 당혹감이 느껴지는 게 사실이다. 발단은 오랜만에 집에 놀러온 조카들에게 게임이나 시켜줄까 해서 근래들어 거의 손대지 않던 데탑을 켜서 발로란트를 인스톨하고 플레이를 시켜주면 서다. 기록 삼아 적어두는 글이라 날짜도 남기는데 23.08.13에 발생한 일이다. 30분쯤 플레이 하던중에 조카 녀석이 갑자기 사색이 돼서는 컴이 꺼졌다고 하길래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고 알겠다 하고 나중에 한번 살펴보지 했는데... 아... 생각보다 심각한 상황이었다. 일단 전원을 넣으면 부팅 신호는 가지..
글쓰는 사과
'itx' 태그의 글 목록